교수님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한 학생입니다. 22강 중에 질량보존의 법칙을 설명하실때 제가 궁금한 것이 질량보존의 법칙으로 인해서 들어갈때와 나갈때의 질량유동은 같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왜 나갈때는 밀도×x방향의 속도 성분만 있는게 아니라 뒤에 뭐가 딸려오게 되는거죠?? 그렇게 되면 질량보존이 안되는거 아닙니까??
답변
미소체적에서 테일러 급수를 이용한 방법에 대해서 공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꼭 밀도뿐만 아니라 미소체적에 관여하는 모든 상태량을 일반화시켜서 식을 세우는 것입니다. 즉, 질량보존법칙을 세우기 전에 일반화하여 왼쪽에는 어떤 질량값(A)이 존재하고 오른쪽에는 어떤 질량값(B)이 존재한다고 해놓고 그 다음에 질량보존법칙을 적용시켜서 A와 B로 다시 돌아가면 질량보존법칙을 만족하는 상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수학적인 전개가 조금 이해가 어려운건데, 조금만 익숙해지면 금방 이해가 가능할 겁니다 다행히 수업시간에 많이 설명한 바 있고, 다행히 이전에 다른 학생분께서도 같은 질문을 해주셨습니다. 아래의 답변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When you login first time using a Social Login button, we collect your account public profile information shared by Social Login provider, based on your privacy settings. We also get your email address to automatically create an account for you in our website. Once your account is created, you'll be logged-in to this account.
DisagreeAgree
Connect with
I allow to create an account
When you login first time using a Social Login button, we collect your account public profile information shared by Social Login provider, based on your privacy settings. We also get your email address to automatically create an account for you in our website. Once your account is created, you'll be logged-in to this acc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