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ear stress(tau) 랑 shear force(V)
Ch. 1 Tension Compression and Shear
Author
Godjunpyo (관리자)
Date
2021-02-19 01:01
Views
1423
1. T = v/A (shear force / 면적) 으로 알고있는데
T = vQ/Ib 라는 식이 나와서 조금 헷갈립니다.
둘이 같은 식인가요?
뭐가 맞는건가요?
그리고 shear stress 랑 shear force 의 정확한 정의는 무엇인가요?
2. δ = EIu (u=deflection) 이라고 하셨는데
앞에서 δ = FL/EA 라는 식이 나와서
이것도 헷갈립니다.
그러면 u = FL/EAEI 라는 식도 맞는건가요?
식이 계속 나와서 앞에꺼랑 혼선이 있어요ㅜㅜ
T = vQ/Ib 라는 식이 나와서 조금 헷갈립니다.
둘이 같은 식인가요?
뭐가 맞는건가요?
그리고 shear stress 랑 shear force 의 정확한 정의는 무엇인가요?
2. δ = EIu (u=deflection) 이라고 하셨는데
앞에서 δ = FL/EA 라는 식이 나와서
이것도 헷갈립니다.
그러면 u = FL/EAEI 라는 식도 맞는건가요?
식이 계속 나와서 앞에꺼랑 혼선이 있어요ㅜㅜ
Mechanics of Materials, James M. Gere, Thomson
Ch. 1 Tension Compression and Shear
Ch. 2 Axially Loaded Members
Ch. 3 Torsion
Ch. 4 Shear Forces and Bending Moments
Ch. 5 Stresses in Beams Basic Topics
Ch. 6 Stresses in Beams Advanced Topics
Ch. 7 Analysis of Stress and Strain
Ch. 8 Applications of Plane Stress (Pressure Vessels Beams and Combined Loadings)
Ch. 9 Deflections of Beams
Ch. 10 Statically Indeterminate Beams
Ch. 11 Columns
Ch. 12 Review of Centroids and Moments of Inertia
- “고체역학 한방에 끝내기” 는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끔 쉽고 재미있게 고체역학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공식만 외워서 문제를 푸는 방식은 올바른 역학 공부법이 아니고, 조금만 응용된 문제가 나오면 접근하기가 매우 어려워져 좋은 시험 점수(좋은 학점)을 받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 원리와 원칙에 충실하여 어떤 문제가 나와도 개념에 충실해서 풀 수 있어야 학업성취도, 취업 면접, 대학원 시험 등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역학을 암기과목 공부하듯이
공식을 외우는 방식으로 공부하시면
어려운 개념이 나올 때 더욱 힘들어지실 겁니다.
절대로 암기하다시피 외우지 마시고,
반드시 개념을 바탕으로
정의와 전제,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하시면서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전단응력은 힘의 방향이
작용면적의 방향과 수직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응력을 말합니다.
(면적의 벡터는 면적에 수직한 방향임에 유의하세요!)
때문에
shear stress = Load / Area
라는 식이 유도될 수 있고,
보통 beam의 전단면에서 작용하는 힘을
Load라고 해도 되지만 특별하게 Shear force (V) 라고 하기에
Shear Stress = V/A 라는 식으로 쓸 수 있겠습니다.
두 번째 언급하신,
Shear Stress = VQ/Ib는
마찬가지로 beam의 전단면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의한 전단응력을 말하지만,
좀더 세부적으로 beam의 기하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식을 유도한 것입니다.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한방에 끝내기 강의를 쭉 들어보시면,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참고하면 좋을 내용은 아래와 같으니
꼭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https://godjunpyo.com/shear-flow-이해하기/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이 공식의 경우
힘에 의한 물체의 변형량에 관한 것이지만,
δ = EIu (u=deflection) 의 경우,
beam이 아래로 힘을 받았을 때 처지는 길이(=처짐량)를 계산할 때 사용되고,
δ = FL/EA 의 경우,
물체가 axial 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
axial 방향으로 발생하는 변형량을 구할 때 사용됩니다.
각각의 공식이 유도될 때
전제되었던 내용과
시스템 자체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당연히 단순하게 대입하는 것으로
두 공식을 연결하는 것을 불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