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학

카테고리: 원하는 부분만 골라! 골라!

순서: 남들이 많이 봤던 내용들만 먼저! 먼저!

키워드 검색: 원하는 내용만 뽑아! 뽑아!

[계산 질문] 평행축 정리

Ch. 1 Introduction To Vibration and the Free Response
작성자
kwonjunpyo
작성일
2020-09-08 01:30
조회
1499
안녕하세요 교수님.

 

진동학 15강, 중간고사 대비 문제 풀이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첨부해 드린 사진 관련 질문인데요,



 

원판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때의 회전 관성 모멘트는 (1/2)mr^2으로 교수님꼐서 적어주신 J값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이 문제에서 교수님께 평행축 정리를 쓰지 않은 것 또한, 교수님이 translation motion으로 나타나는 운동 에너지를 (1/2)mv^2으로

고려해주셨기 때문이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는, 동역학에서, 여러 문제를 풀었을 때, J' = J + mr^2, T = (1/2)J'*(omega)^2 으로 나타낼 수 있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교수님 그런데, 이 문제에서, 교수님꼐서 수식으로 쓰신 (1/2)mx^2으로 Translation motion energy로 잡으시면, (J' = (1/2)*(mr^2)+ma^2)

평행축 정리로 계산하였을 때, (1/2)*(ma^2)*(theta_dot)^2 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이 문제 풀이를 진행하실 때에도, (a_r)*theta 와 r*theta가, 수식으로 정리된 결론은 다르지만, 많은 차이가 안날 것이라 고려된다 라고 말씀해주셨는데, 이 또한 같은 답변이 될지 여쭈어보고 싶었습니다.

 

교수님께 답변을 받을 때 까지 시간이 조금 걸릴 것이라 생각되어, 질문 올린 뒤 저 또한 평행축 정리로 유도해보고 있겠습니다.

 

또한, Equation of Motion 수식 나타내실 때, Theta_dot이 모두다 공통으로 나타나는데 '상관없다' 하시며 없애셨었는데요

이게 혹시 공통된 변수를 나누듯이, 없애는 것인지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평행축 정리 이용하여 나타낸 값입니다!



 
전체 3

  • 2020-09-08 01:50

    안녕하세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의 의도는 잘 알겠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제 풀이에 많은 가정이 있는 것을 잘 압니다.

    하지만,
    제가 가정한 것들은
    이 시스템을 해석하는 데에 큰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씀드립니다.

    저도 좀 더 깊게 이해하고자 한다면...

    potential energy에서의 변위와
    kinetic energy에서의 translation velocity에서의 변위차가
    다르게 유도되는지는 쉽게 납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의도하는 것을 잘 생각해본다면
    kinetic energy는
    disk의 kinetic energy를 중심적으로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학생분께서 하신 것처럼
    회전관성모멘트를
    r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a로 잡는다면
    그 값이 지나치게 작게 나올 염려가 있습니다.

    때문에 학생분께서 내신 풀이보다는 제 가정이 조금 가까울 것 같습니다.

    그리고
    혹시 좀더 파고 싶으시면,
    a/r의 ratio에 관해 wn을 plot해보세요.
    학생분의 풀이와 제 풀이를 동시에 plot하여 비교해본다면,
    얼마나 차이가 있을지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문제의 가정이 조금 납득하기 어렵다는 점은
    저도 어느 정도 이해하나

    제가 이 문제를 통해서 학생분들께 원하는 지향점은
    Energy Method의 올바를 사용과
    translation + rotation을 이용하여 kinetic energy을 계산하고
    potential energy를 kinetic 항과 잘 구별하여
    올바르게 에너지 보존 방정식에 의한 솔루션을 내는 과정입니다.

    이 방법에 대해서 많은 연습을 해보신다면,
    그것으로도 충분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많이 생각해봤지만,
    제 가정이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고,
    학생분의 관성 모멘트값이 지나치게 작을 것 같다는 이유 때문에
    쉽게 솔루션을 바꾸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나중에 한 번 plot하여 보여주시면 정말 재밌을 것 같습니다.
    열심히 공부해주셔서 보기 좋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2020-09-10 14:02

    clear

    close all

    clc

    %wn_prof:강의에서 나온 Natural Frequency

    %wn_me : 평행축 정리를 이용한 Natural Frequency

    %%Information

    k = 1;

    m = 1;

    r = 1;

    a = 0:0.001:1;

    X = a/r;

    %%Calculation

    wn_prof = ((a+r)/r)*sqrt(4*k/(3*m))

    wn_me = sqrt((4*k*(a+r).^2)./((m*r^2)+2*m*a.^2))

    plot(X, wn_prof)

    hold on

    plot(X, wn_me)

    %%Post-Processing

    legend_entries = {'wn prof', 'wn parallel axis theorem'};

    legend(legend_entries, ', 'northeast')

    grid on

    xlabel('a/r')

    ylabel('wn')

    title('Comparison between lecture and parallel axis theorem')

    교수님 말씀해주신대로 a/r 비율로 plot 해보았습니다!
    (다시 보니 변수 선언이랑, 그래프 plot label이 조금 이름이 다른데, calculation에서 wn_me가 평행축 정리를 이용한wn_parallel axis theorem 입니다!)

    a/r 비율을 어떻게 수식에 넣을지 고민해보다 r을 고정해두고 a를 0~r까지 변화시키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했고,

    m, k 모두 다 모르는 상수값이기에 1로 두고 계산을 하였습니다.

    이 차이에 대해서 오차가 상당하다고 이야기 할 수 있을지... 잘 체감이 되지는 않습니다...!

    +) 제가 평행축 정리라고 부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물체가 회전을 할 때, 무게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값이 지금 문제 상황에서도 나와있는 J=(1/2)mr^2입니다. 그리고 회전하는 축이 이 중심축이 아닌 경우, translation energy를 추가적으로 고려하거나(1/2mv^2), 아니면 평행축 정리를 이용하여 J값을 보정(J')해주어 (1/2)J'*w^2 으로 계산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여기서 교수님과 저의 계산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만약에 J에 (1/2mr^2+ma^2)으로 들어간다면, 교수님께서 따로 고려해주신 Translation, (1/2)*m*(r*theta_dot)^2이 저는 (1/2)*m*(a*theta_dot)^2이 됩니다.


  • 2020-09-10 14:15

    위의 코드로 plot한 사진 첨부합니다!

    나왔다-ㅎㅎㅎ.jpg


Engineering Vibration, Daniel J. Inman, Pearson

Ch. 1 Introduction To Vibration and the Free Response
Ch. 2 Response To Harmonic Excitation
Ch. 3 General Forced Response
Ch. 4 Multiple-Degree-of-Freedom Systems
Ch. 5 Design for Vibration Suppression
Ch. 6 Distributed-Parameter Systems
Ch. 7 Vibration Testing and Experimental Modal Analysis
Ch. 8 Finite Element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