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링 신청하기

[갓준표 멘토링 시간 공지]

2023년 5월 ~ 현재: 금요일 23시 (한국시간 기준)

2022년 8월 ~ 2023년 5월: 토요일 14시 (한국시간 기준)

2020년 8월 ~ 2022년 7월: 금요일 22시 (한국시간 기준)

문제 풀이

공부법
작성자
hjung0215
작성일
2020-11-21 17:28
조회
1009
안녕하세요.

현재  3학년 복학 예정 중인 휴학생 입니다.

제가 복학하기 전에 전공복습을 하려고 권준표 교수님 강의를 듣고나서

제가 사용하던 전공 서적의 연습 문제를 풀면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고민은 문제를 푸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것입니다.

연습 문제가 한 단 원당 150?개 정도 있어서 홀수 번호만 풀고 있습니다.

근데 이게 한 30문제 풀고 나면 최소 5시간 이상이 걸립니다.

어려운 문제를 만나면 막 1시간씩 고민하다 보면 하루 동안 푼 문제 수가  20문제도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가 모르는 문제를 보면 이해가 될 때까지 꼬리 물기 질문을 스스로 한테 던지는 습관이 있어서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것 같긴 합니다.)

저는 분명 많은 시간을 들여서 공부를 한 것 같은데 푼 문제 수를 보면 10~20문제... 후우

원래 역학문제를 풀때 시간이 많이 걸리는 건가요?

요즘 파이썬도 공부를 하고 있어서 역학공부랑 시간균형을 좀 맞추고 싶은데

강의듣고 역학 문제 풀이를 하고 나면 시간적 여유가 별로 없어서 고민입니다.

교수님께서 학부시절때 역학문제 풀이를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전체 2

  • 2020-11-22 13:12

    제가 역학의 고수도 아닐뿐더러 아직 기계공학 학부 과정도 제대로 마치지 못한 학부생이지만 제가 역학을 공부했던 경험을 잠깐 이야기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제> 역학 실력은 자기 스스로 생각하며 스스로 되뇌이는 시간을 많이 가질 수록 개념이 튼튼해진다.
    # 역학 공부에는 굉장히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많은 과목을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하는 시험기간과 평상 시의 공부 전략은 달라야 합니다.

    # 평상 시에 공부할 때
    1. 진도나간 범위에 대한 개념 숙지에 포커스를 맞추고 복습합니다. 어느 정도 개념 이해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예제 및 연습문제 풀이를 시도합니다. 이 때는 답이 나오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아직은 미숙한 게 당연한 시기입니다.
    2. 풀리지 않더라도 의식적으로 계속 문제를 고민해봅니다. 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된다고 판단되면 휴대폰 타이머 기능을 이용해서 한 문제 당 20분 정도만 고민하고 넘깁니다. 해결되지 않은 문제는 체크만 해둡니다.
    3. 계획된 범위까지 문제를 풀어 보고 해결되지 못한 문제들을 다시 한번 풀어봅니다. 해결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고민하는 과정 자체가 의미있는 거니까요. 이 경우에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싶으면 휴대폰 타이머 기능을 이용해 동일하게 20분 정도만 고민해보고 안 되면 넘깁니다.
    4. 솔루션은 최대한 보지 않습니다. 솔루션은 최후의 수단입니다. 급한 과제가 아니라면 풀리지 않은 문제는 시험기간 때까지 체크해두고 계속해서 고민해 봅니다. 진도가 나가면서 체크된 문제의 갯수는 늘어나지만 괜찮습니다.

    #시험기간에 공부할 때
    1. 평상 시에 공부를 꾸준하게 해왔다면 시험범위까지, 즉 진도 나간 범위까지의 문제들을 어느 정도 검토해본 상황일 겁니다. 교재에는 교수님이 수업 중 집어준 문제와 본인 스스로 체크해 둔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 이제 이 문제들에 도전합니다.
    2.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을 풀어봅니다. 이 경우엔 휴대폰 타이머 기능을 최대 10분으로 설정해두고 그 안에서만 고민하고 안 풀리면 넘깁니다. 고민 시간을 최대 10분으로 줄인 이유는 여러 과목을 동시에 공부해야 하는 시험기간이라 이제 더 이상 시간이 넉넉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필요 시 이를 5분으로 줄여도 괜찮습니다.
    3. 마지막까지 남은 문제들, 그리고 이전에 풀어본 문제들이 제대로 이해된 건지 검증하기 위해 솔루션과 본인의 풀이를 비교 분석합니다. 특히 마지막까지 풀리지 않았던 문제들의 경우 솔루션 한 줄 한 줄 어떤 개념이 어떻게 응용되어 방정식이 도출되는 지 분석합니다.
    4. 위 과정을 반복합니다.
    5. 반복을 어느 정도 한 이후에는 문제만 봐도, 문제에 나오는 그림만 봐도 어떤 개념이 필요한 지, 어떤 접근법이 필요한 지 바로 떠오릅니다.
    6. 반복의 핵심은 반복을 거듭할 수록 공부량이 감소하는 겁니다. 머릿속에 들어와 있는 문제들이 많아질 수록 반복 시마다 체크할 문제 수는 감소합니다. 이 쯤 되면 책에서 응용되는 문제는 대체로 풀 수 있습니다.

    이 공부법은 평상 시, 그리고 시험 기간 도중에 엄청난 공부 시간을 요구하게 됩니다. 따라서 어쩌면 가성비가 안 좋은 공부법일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저는 이와 같은 시간 투자를 통해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한 이후로 이 공부법을 적용한 과목에 한해서는 모두 좋은 학점을 받았습니다. 좋은 학점이 곧 그 과목에 대한 깊은 이해를 의미하는 건 아니지만요. 제가 공부할 때 즐겨 보는 문구를 마지막으로 댓글을 마치겠습니다.

    "어떤 문제에 부딪히면 나는 미리 남보다 두 세 배의 시간을 투자할 각오를 한다. 보통의 두뇌를 가진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를 끝까지 해내는 끈기를 의식적으로 키워왔다."

    by 히로나카 헤이스케 - 필즈상을 수상한 일본 수학자, from. 학문의 즐거움(김영사) 中


  • 2020-12-15 18:30

    너무나 훌륭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저 또한 많이 배웠습니다.


  • 저는 기계과에서 공부한 사람으로서 학부, 취업 준비, 대학원 생활, 유학 준비, 미국 취업 등 많은 것을 경험한 바 있습니다. 
  • 그런 일련의 과정들을 겪으면서 제가 가장 아쉬웠던 부분은 “정보의 폐쇄성”이었습니다.
  • 평소에 선배들을 많이 알고 있는 친구들이 취업, 인턴, 대학원 등을 쉽게 준비할 수 있는 것을 볼 때마다 정보의 중요성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 그러한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서 최소한 제 강의를 듣는 기계공학도끼리는 서로 궁금한 점, 고민, 정보 등을 공유하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내가 궁금한 것은 남들도 궁금해 합니다. 부끄러워마시고 편하게 고민을 나눠주세요.